시민 과학자와 구글이 인공지능을 합작하여 소행성을 찾아냈다.
허블 망원경이 찍은 우주 사진에 참가자들이 직접 눈으로 소행성이 지나간 흔적을 찾고,
그 흔적들을 AI로 학습시켜 소행성 인식 모델을 만들어 낸 것이다.
그 결과로 1701개의 소행성을 찾아 냈다고 한다. 더욱이, 이중 1301개는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소행성이라고 하니 놀라울만한 결과이다.
점차 더 많은 분야에 AI가 적용되고 있고, 그 속도 또한 더 빨라지고 있다.
시민 과학자 1만명·구글 인공지능 합작… 소행성 1701개 찾아냈다 [사이언스샷] - 조선일보 (chosun.com)
'스크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학습 없는 인공지능, 픽셀까지 본다 (0) | 2022.05.04 |
---|---|
끼어들기 단속, 이제 AI로 (0) | 2022.05.02 |
AI로 농산물 품질 선별 (0) | 2022.04.29 |
AI야, 나의 운전습관은 몇점? (0) | 2022.04.27 |
작은 머신러닝, TinyML (0) | 2022.04.26 |